본문
매년 7월 28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세계 간염의 날’이다. 간은 약 3천억 개가 넘는 세포로 이뤄져있는 신체 장기 중 가장 크고 기능이 복잡한 기관이다.
|
무게로만 봐도 건강한 성인의 간은 약 1.2kg~1.5kg. 간은 제 무게만큼의 일을 한다. 체내 물질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자기 몫의 일을 묵묵히 담당하는 간이 있어 우리는 든든하다. 그래서 간이 아플 때는 집 안의 가장이 아픈 것처럼 우리 몸 전체가 휘청거린다.
간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간손상으로 인한 임상경과는 비교적 비슷하다. 상당수의 간질환은 만성적인 경과를 밟아 약간의 피로감 또는 무증상 등으로 나타나 자각하지 못하는 동안 간손상이 지속되게 된다. 지속된 간손상은 이렇듯 뚜렷한 증상없이 간경변증 또는 간암으로 진행해 생명을 위협하는 “침묵의 살인자”로 불려지기도 한다.
우리나라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한 해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6,793명으로 사망 순위 8위이다. 여기에 암으로 별도 계산된 간암 사망자 11,335명을 더하면 간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1만 8천여명에 이른다. 이는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이어 4번째로 많은 사망원인이다.
■ 간질환의 원인
간손상의 원인으로는 바이러스성 간염이 가장 흔하다.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은 A, B, C형 간염이 있다. A형 간염은 주로 급성 간염을 일으키고 B형, C형 간염은 급성 간염 후 만성간염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 알코올 간염, 지방간, 독성 간염 또한 간손상을 야기한다. 급성간염은 노약자, 만성질환자에서 발병하였을 때 간부전증으로 진행돼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 주 내에 회복된다. 어떤 원인이든 지속적으로 간손상이 반복되는 경우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할 위험이 크고, 일단 간경변증이 발병하면 치료를 받더라도 원상태로 간을 회복시키기 어렵다. 우리나라 간암의 70% 이상이 B형 간염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바이러스성 간염 예방법
주로 음식물을 통해 경구로 전염되는 A형 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섭취하기 전이나 화장실을 이용한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안전한 식수를 마시는 게 좋다. 날음식이나 상한 음식, 오래된 어패류는 피해야 한다. 특히 20대 이하는 대부분 항체가 없기 때문에 항체검사 후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B형 간염은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분만 시 주로 전염돼 1980년대에 이르러 전 인구의 7~8%가 B형 간염 보유자였다. 1995년 영유아의 국가예방접종사업 시작으로 점차 그 보유자 수는 감소되어 현재는 국내 인구의 약 3% 정도가 B형 간염 보유자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형 간염에 감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항체 검사를 통해 B형 간염에 대한 항체가 없다면 의사와 상의해 백신 접종을 한다. 간기능 상태가 정상인 단순 B형 간염 보유자 상태는 치료가 필요하진 않지만 주기적인 관찰을 하다 간효소 수치가 상승돼 활동성 간염으로 진행 될 때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C형 간염은 별도의 예방주사는 없지만 개인위생을 철저히하고 질환이 발병되었을 때 꾸준히 경구용 약물을 사용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암튼, 간은 피곤하게 하지말고 간에게도 휴식을 주어야하고 개인위생과 예방접종을 철저히하는게 바람직하다.
간내과 윤병철 교수
[전문진료분야]
간, 담도, 췌장질환(간암, 간경화, 급‧만성 간염), 식도정맥류
[학력사항]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인제대학교 의학대학 박사
現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간내과 교수
[학회활동]
대한소화기병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한간학회
[진료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ㅇ |
||||
오후 |
ㅇ |
ㅇ |